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네트워크

OSPF NSSA (Not So Stub Area) & LSA Type 7 ● OSPF NSSA 정의 Stub Area의 특징을 가지고 있고, ASBR이 존재하여 외부 경로를 재분배를 통해 OSPF Domain 내부로 삽입할 수 있는 Area 입니다. ● OSPF NSSA 특징 외부 경로 정보 (LSA Type 5)정보를 받지 않는 Stub 특성을 가지고 있지만 ASBR을 가질 수 있는 특수 AREA. ASBR within NSSA에서 재분배를 수행하게 되면 O N1, O N2의 Route Type으로 라우팅 테이블에 나타남 NSSA에서 재분배되는 네트워크 경로 정보는 LSA Type 7으로 전달되며, NSSA ABR이 LSA Type 5로 변경하여 다른 Area로 광고를 수행 함. NSSA ABR 2개 이상 있을 경우 가장 높은 Router-ID를 가진 NSSA ABR이 Ty.. 더보기
OSPF Stub Area & Totally Stub Area ● OSPF Stub Area & Totally Stub Area 정의 LSDB에 저장되는 경로정보를 축소 및 프로세싱 자원을 절약하기 위해 상세한 외부경로 정보대신 Default Gateway 정보를 받아 라우팅 테이블에 내리는 기술이 적용되는 Area를 의미 합니다. ● OSPF Stub Area & Totally Stub Area 장점 및 특징 장점 - LSDB 크기 및 라우팅 테이블이 감소하여 자원 저장과 계산에 사용되는 리소스를 절약할 수 있습니다. - 30분 마다 수행하는 LSA Flooding 작업의 부하가 감소 합니다. 특징 Stub Area - ASBR이 수행한 재분배를 통해 학습된 외부경로를 수용하지 않는 Area 입니다. - 상세한 외부 정보 대신 Default Route (0.0.0.. 더보기
OSPF Virtual Link 가상링크 기술은 개념이해만으로 충분합니다. 실제 사용 사례가 없습니다. ● OSPF Virtual Link 정의 OSPF Two-Tier Hierarchy 원칙에 따르면 Backbone Area는 연속적으로 구성되어야 합니다. 예외적인 상황에서 Back-bone Area가 분할되어 있을 경우 상호 연결 시켜주는 기술 또는 Backbone Area에 연결되지 않은 Area를 Backbone Area에 연결시키는 기술을 의미 합니다. ● OSPF Virtual Link 특징 Virtual Link의 사용은 특수한 목적 달성을 위해 일시적으로 사용해야 합니다. Virtual Link를 통해 학습한 경로는 DoNotAge(DNA) bit가 활성화 되어있어 LSDB Aging Time이 증가하지 않음 - LSDB.. 더보기
OSPF Link-State Announcements (LSA Types) ● OSPF Link-State Announcements 정의 및 용어 OSPF 도메인내에 있는 다른 라우터들과 멀티캐스트를 통해 상호간에 커뮤니케이션을 할 수 있는 메시지를 LSA라고 합니다. 즉, OSPF 라우터들 간에 LSDB를 동기화 시키는 작업을 수행할 때 사용되는 메시지 입니다. ABR 정의 2개 이상의 Area에 소속되어 있는 라우터를 ABR (Area Border Router)이라고 합니다. 특징 ※ Route Summary 및 Route Filtering을 수행 합니다. - Area 내부의 LSDB정보는 동일해야 하기 때문에 다른 Area로 네트워크 정보를 넘길 때 해당 작업을 수행 합니다. ※ LSA Type 3 & 4를 생성 합니다. - 다른 Area의 네트워크 정보만 LSA Type.. 더보기
QoS Classification and Marking (범주화와 표시) ● QoS Classification and Marking QoS mechanism을 적용하기 전 IP Traffic은 비즈니스 요구사항을 기반으로 식별 및 분류되어 서로 다른 Class로 배정 됩니다. IP Traffic 식별화 이후 패킷 또는 프레임 헤더의 특정 필드를 Marking하여 다른 네트워크 장비에서도 해당 패킷 또는 프레임에 QoS를 적용할 수 있도록 합니다. ● Classification (범주화) Packet Classification은 QoS mechanism으로 서로 다른 트래픽을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 됩니다. 이때 Traffic Descriptor 1) 를 이용하여 IP Packet을 특정 class로 묶습니다. 가능하다면 Packet Classification은 트래픽의 출발지.. 더보기
MPLS RD (Route Distinguish)와 RT (Route Target) 사용 방법 ● RD (Route Distinguish) 사용 via MP-BGP MPLS VPN을 사용 시 RD를 사용하여 주소를 고유하게 만들어 MP-BGP에서 해당 정보를 PE 라우터들이 공유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합니다. ○ RD (Route Distinguish) 정의 IP정보에 RD (Route Distinguish)를 붙여 유일한 주소를 생성하여 중복된 IP주소를 식별하기 위한 목적으로 RD를 사용합니다. ○ RD (Route Distinguish) 특징 IP에 64 bit RD를 추가하여 유일한 주소를 생성하며 VPNv4 이름으로 정의 됩니다. RD 설정은 VRF 인터페이스에서 수행 합니다 VPNv4 주소는 BGP를 통해 PE 라우터들간 주소 정보를 전달 합니다. BGP는 다양한 주소 체계 정보도 전달.. 더보기
MPLS VPN이 BGP를 사용하는 이유 (feat. RD) ● MPLS VPN에서 고객 라우팅 정보를 전달하는 방법 MPLS VPN은 Peer-to-Peer VPN으로 분류 되기 때문에 고객의 라우팅에 직접적으로 참여를 합니다. MPLS VPN 에서 많은 고객들이 연결되며 고객들의 네트워크 정보를 전달하는 수단으로 BGP가 선정되었는지 살펴보겠습니다. ○ IGP를 이용한 고객 정보 전달 고객의 정보를 IGP를 이용하여 전달하는 방법은 VRF의 수량 제한으로 인한 확장성의 문제와 P Router가 모든 고객의 라우팅 정보를 관리하고 유지해야 하기 때문에 많은 부하와 자원에 대한 문제가 발생합니다. 예를 들어 VRF의 수량이 충분하여 OSPF를 이용하여 고객의 라우팅 정보를 교환한다면 Neighbor 관계 수립에 따른 주기적인 Hello Packet과 OSPD Da.. 더보기
MPLS VPN 소개 및 VPN 기술의 종류와 특징 (feat. VRF) ● VPN (Virtual Private Network)이란? VPN은 Virtual Private Network의 약자로 가상 사설 네트워크를 의미합니다. 공개적인 네트워크를 사설망 처럼 사용하는 모든 기술을 VPN 으로 부를 수 있습니다. ● VPN (Virtual Private Network) 종류와 특징 VPN 기술의 종류는 Overlay VPN과 Peer-to-Peer VPN 2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Overlay 방식은 기존 헤더에 추가로 헤더 정보를 덧붙여 목적지까지 전달하는 방식을 취하며 대표적으로 GRE와 IPSec 방식이 있습니다. Peer-to-Peer 방식은 ISP가 고객의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방식 입니다. 고객사를 위해 ISP가 전용 라우팅 공간을 할당해주는 방식이라면 이해 하기 .. 더보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