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썸네일형 리스트형 Spanning-Tree (IEEE 802.1D) - 장애 시나리오 ● Spanning-Tree (IEEE 802.1D) 장애 시나리오 - BLK Port Down 발생 STP의 상태가 BLK인 인터페이스가 Down될 경우 두 스위치 사이의 트래픽 흐름은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Switch2와 Switch3 사이의 링크 장애 발생 시 Root Bridge에게 Topology Change Notification BPDU를 전송합니다. Root Bridge는 TCN BPDU수신 즉시 Configuration BPDU를 전송하게 되고 해당 BPDU를 수신한 스위치들은 MAC 주소 테이블을 삭제합니다. ● Spanning-Tree (IEEE 802.1D) 장애 시나리오 - RP Port Down 발생 (With BLK가 없는 스위치) 장애 발생 후 STP가 안정화 되는 과정 순.. 더보기 Spanning-Tree (IEEE 802.1D) - Topology 변경 ● Spanning-Tree (IEEE 802.1D) - Topology 변경 안정화된 Spanning-Tree 환경에서 BPDU의 흐름은 Root Bridge에서 Edge Switch로 향합니다. 그러나 스위치 장애, 링크 장애 또는 새로운 링크 연결과 같은 이벤트들에 의해서 Spanning-Tree Topology의 변경이 발생 할 수 있습니다. 스위치는 링크의 상태변화를 감지하고 Topology Change Notification(TCN) BPDU를 Root Bridge에게 전달합니다. Root Bridge가 TCN BPDU 수신과 동시에 Change flag를 설정한 Configuration BPDU를 모든 DP 포트로 전송 합니다. 첫번째 Configuration BPDU를 수신한 스위치들은 M.. 더보기 Spanning-Tree (IEEE 802.1D) - Root Bridge, RP, DP, BP 선출 ● Spanning-Tree (IEEE 802.1D) Root Bridge 스위치와 스위치를 연결하면 STP는 자동으로 계산하여 Root Bridge를 선출하고 스위치 포트는 계산에 의해서 RP, DP, BLK 포트로 선출이 됩니다. Spanning-Tree topology를 구성하기 위해서 제일 먼저 스위치는 Root Bridge를 선출해야 합니다. STP가 스위치에서 처음 동작하면 스스로를 Root Bridge라고 판단하고 자신의 BPDU (Configuration BPDU)에 자산의SYSTEM MAC 주소를 담아 이웃한 스위치에 전달 합니다. 수신한 Configuration BPDU의 Root Priority 1) 값과 자기 자신의 BPDU의 Priority 값을 비교하며 우선순위가 낮을 경우 수신.. 더보기 Spanning-Tree (IEEE 802.1D) 란? ● Spanning-Tree 개요 Spanning-Tree의 가장 중요한 역할은 Layer 2 계층에서 Loop Free 구조를 만드는 것 이고, Spanning-Tree는 특정 스위치 장비를 Best Switch (Root)로 선정하고 나머지 스위치들을 하위에 두는 Tree 구조를 만듭니다. Spanning-Tree는 IEEE 802.1D 표준에서 시작되었고 VLAN이 여러개 있더라도 1개의 Spanning-Tree만 동작하는 하였습니다. 현재의 네트워크에서 IEEE 802.1D STP를 사용하지 않지만 중요한 이유는 RSTP, MST를 이해하는데 기초적인 정보를 제공하기 떄문에 알아둘 필요가 있습니다. ● Spanning-Tree Port Status 스위치 포트에서 Spanning-Tree에 영향을.. 더보기 Routed Protocol vs Routing Protocol ● Routed Protocol Routed Protocol은 네트워크 프로토콜이며 사용자의 데이터를 네트워크를 통해 전달할 때 사용되는 프로토콜 이며 가장 널리 사용되는 프로토콜은 IP 입니다. ● Routing Protocol 네트워크 장비 사이에서 경로 정보를 학습하고 갱신에 사용되는 프로토콜 입니다. 대표적으로 RIP, OSPF, EIGRP, BGP와 같은 라우팅 프로토콜이 있습니다. 더보기 Load Sharing vs Load Balancing ● Load Balancing 일반적으로 이야기 하는 Load Balancing (부하분산)은 네트워크 트래픽이나 부하가 균등하게 다양한 경로를 통해 전달되는 것을 의미함. 부하분산을 수행하는 알고리즘은 Ratio, Round Robin, Fastest, Least Connection과 같은 방법을 통해 부하분산을 수행 하고 대표적으로 Layer 4 장비가 여기에 해당 함. ● Load Sharing 단일 목직지를 향하는 전체 트래픽중 특정한 비율로 하나의 링크로 전송되고 나머지 트래픽은 다른 경로를 통해 전달되는 것을 의미하며 해당 트래픽 분산 비율은 동일한 비율로 나뉘어 지지 않음. 부하공유를 수행하는 알고리즘은 목적지 IP 또는 MAC 주소를 이용하여 부하공유를 결정하며 대표적으로 이더채널 및 CE.. 더보기 Layer 2 Switching - CEF Switching ● Cisco Express Forwarding(CEF) CEF는 시스코 전용 스위칭 매커니즘이고, 대부분의 시스코 플랫폼 장비에서 해당 스위칭 방법을 기본으로 제공 합니다. CEF Switching을 분류하는 방법으로 "Where (장소)" Switching Engine이 위치하고 있는지 "What (무엇)" Switching을 수행애하는지에 따라 분류를 수행합니다. "Where (장소)"에 해당하는 부분은 스위치에서 패킷 스위칭을 담당하는 포워딩 엔진 (Forwarding Engine) 위치에 관한 분류 이며 하드웨어의 물리적인 배치와 연관이 있습니다. Forwarding Engine이 RP내부에 위치하고 있다면 Centrailzed Forwarding Achitecture, Forwarding En.. 더보기 Layer 2 Switching - Switching (Process, Fast, CEF) ● Frame Switching 개요 초창기의 시스코 라우터가 패킷을 수신하면 Layer 2 정보를 제거하고 목적지 IP 주소가 라우팅 테이블에 존재하는지 확인합니다. 일치하는 경로가 없다면 해당 패킷은 버려지며 일치하는 경로가 존재하면 라우터는 새로운 Layer 2 헤더 정보를 패킷에 추가 했습니다. 1) 이후 라우터는 Layer 2 헤더 정보를 제거 후 추가하는 방법 대신 Layer 2 헤더 정보를 수정하는 방식을 이용하여 성능을 개선이 이루어졌고 대표적으로 향상된 기능은 아래 목록과 같습니다. IP Packet Switching 성능 IP Packet Forwarding 처리 속도 Outgoing Interface 전송 또는 Packet Drop 판단 패킷이 전송되어 목적지로 도착 하기까지 처리 방.. 더보기 이전 1 ··· 18 19 20 21 22 다음